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사 지방 쓰는법, 쓰는이유 순서 시간 날짜 총 정리 (모르면 손해)

음식

by 내돈내산 리뷰어 2023. 6. 5. 13:14

본문

 

 

종묘사직의 전통을 이어받아온 국내 제사 지내는 표준 방법을 적었습니다. 

1. 제사 지방 쓰는 이유
2. 제사 지방 쓰는 법
3. 제사 지내는법 순서
4. 제사 시간 

 

 

제사 지방 쓰는 이유

제사 지방을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원래는 제사를 모실 때 고인의 영정(초상화)을 두고 모셨다. 하지만 초상화는 그림이기 때문에 실제 모습과 약간 차이가 난다. 머리카락, 눈썹, 수염, 이목구비등 하나도 다르면 안되기 때문에 영정에서 지방으로 점차 변하게 되었습니다. 제사를 지낼 때 사진으로 대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법도에 따라 지방도 같이 하는게 좋다. 

 

만약 사진을 둔다면 아버지 사진은 지방의 왼쪽, 어머니 사진은 지방의 오른쪽에 두는게 맞다. 우리는 음양오행, 풍수지리와 같은 동양사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살아있을 때는 양의 세계, 돌아가신 후에는 음의 세계다. 낮은 양, 밤은 음이다.  유교문화라 어쩔 수 없이, 현 시대정신과 맞지 않지만 남자가 가장이라 우선순위를 두는것을 이해해야 한다.

 

지방의 상징적인 표현은 여기 그 조상분이 와 계신다는 의미이다. 

 

 

제사 지방 쓰는 법 

1. 제사 지방을 쓰기 전 종이를 반으로 접어 상단 오른쪽, 왼쪽을 둥글게 짜른다. 짜르는 이유는 둥근쪽은 하늘을 상징하고, 바닥은 모 나기 때문에 땅을 나타낸다.  종이크기는 폭 6cm , 길이 22cm 크기로 이루어진다. 

 

https://mnews.imaeil.com/page/view/2023012208355585984

2.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입니다. (남좌여우) 유교 정치로 왼쪽이 더 높고, 오른쪽이 왼쪽보다 더 낮다. 조선시대에 정치 계급 순서로 보면 좌의정, 우의정, 영의정 순서로 계급이 나타난다. 한 분만 돌아가신 경우에는 중앙에다가 쓴다.

 

3.  위에서 부터 현 (훌륭하신, 자랑스러운), 밑에 고(돌아가신). 밑 에 학생(고인의 직위, 벼슬을 하지 않고 세상을 떠나면 학생이라고 표현, 만약 벼슬을 헀다면 벼슬한 직위를 적는다) 부군(남성을 뜻한다)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고인의 자리를 뜻한다)

 

현고학생부군신위의 뜻을 풀어서 말하면 '돌아가신 아버님, 어떤 벼슬을 지낸 어른신의 자리'를 말한다. 

 

4. 위에서 부터 현비(훌륭하신 어머니). 밑에 유인(똑같이 벼슬을 지내지 않은 경우), 밑에 김해김씨(여자 조상의 본관과 성씨를 적는다), 밑에 신위(고인의 자리를 뜻한다).

 

5. 마지막으로 제사를 지낸 뒤 사용한 지방은 태워야 한다. 최근에 한자의 우리말 표기인 '현고학생부군신위' 를 적는 분도 많다. 

 

 

 

제사 순서 

1. 재개 - 몸과 마음을 깨끗히 한다. 본인의 정갈함을 유지한다.

2. 세소정침 - 제사 모실 곳을 깨끗히 정리한다.

 

3. 재주수축 - 신주(지방)을 쓰고 축을 준비한다.

 

4. 점초 - 촛불에 불을 붙인다.

5. 설소가주찬 - 식어도 되는 음식을 먼저 올린다.

 

6. 봉주추이 - 신주를 받들어서 위패에 모신다. 지방을 써서 제사상에 모신다.

7. 강신 - 하늘의 정신은 내려오고 땅의 기운을 올라오게 한다. 처음 잔을 올리기 전에 신을 내리게 하기 위하여 향을 피우고 술을 따른다.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제주는 두번 절한다.

 

8. 참신 - 강신 다음으로 신 앞에서 절을 한다. 집 안 마다 다르나, 온가족이 다같이 하는 집안이 있고, 윗 세대부터 하는 집안이 있다. (할아버지 -> 아버지 -> 아들) 

9. 진찬 - 식으면 안되는 음식 국과 밥을 제사상에 차란다. 

 

10. 초헌 - 첫 술잔을 올린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주면 집사가 술을 올린다. 

11. 계반 - 뚜껑이 덮힌 밥그릇과 국그릇을 연다.

 

12. 독축 - 모두 앉은 뒤 축물을 읽는다.

 

13. 아헌 - 두 번째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14. 종헌 - 세 번쨰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15. 첨자 - 식사할 때 조상에게 반주를 주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16. 삽시정저 - 밥 위에 숟가락을 동쪽으로 향하도록 꽂는다. 제주가 젓가락을 고기나 생선 위에 올려 놓는다. 

 

17. 유식 - 조상에게 식사를 권한다.

 

18. 합문/계문 - 조상님이 식사하시는 것을 보는 것은 예의가 아니기 때문에 제사를 지내는 방에서 나오다. 아홉 숟가락을 먹는 시간동안 나와서 기다린 후 제주가 기침을 세 번한 후 다 같이 들어간다.

19. 숙수 - 숭늉을 올린다.

 

20. 숟가락과 젓가락을 내린 후 밥 뚜껑과 국그릇을 덮는다.

21. 사신 - 제사가 끝난 후 조상을 보내드린다. 그리고 지방을 불 태우고 상을 치운다.

 

22. 음복 - 함께 식사를 한다. 음식을 이웃 어른들에게 대덥하기도 하고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차려입은 옷을 벗거나 일체의 행위를 하면 안된다. 

 

 

 

제사 지내는 시간과 날 

제사 시간은 자시 (밤11시 ~ 새벽 1시)에 지내고, 차례를 낮에 지낸다. 요즘은 제사시간을 앞당겨 저녁 8시 ~ 10시 사이에 지내는 경우가 많다. 제사는 언제 지내는게 좋을까? 조상이 돌아간 날과 돌아가기 전날 두고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만약 조상이 5월8일날 돌아가셨다면 5월 7일날 밤 11시 ~ 새벽 1시 사이에 제사날로 정해야한다. 

 

 

 

제사 준비물 

 

더해담 제수용 향

COUPANG

www.coupang.com

 

 

우성공예 물푸레제기 위패

COUPANG

www.coupang.com

 

 

 

 

 

돈 들어오는 집 풍수 인테리어 

 

학생 자녀 성적 오르는 방 인테리어 꾸미는법

자녀 방 꾸미기 글을 읽기전 15초만 시간내서 아래글을 읽어보자. 시장을 이해한다는 건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똑똑한 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한다. 과거의 선택이 현재의 나를 만들었

humanities1592.tistory.com

 

 

돈 들어오는 풍수인테리어 소품 그림 현관 거실 침실

풍수인테리어 글을 읽기전에 아래 글을 30초만 투자해서 읽어보자. 시장을 이해한다는 건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똑똑한 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한다. 과거의 선택이 현재의 나를 만들

humanities1592.ti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